The Standards
바닥의 평탄도는 VNA구간에서 운용되는 모든 MHE 장비의 성능발휘를 위한 핵심요소입니다. DIN18202, DIN15185, EN15620, TR34 기준 등은 현재까지 기본적인 기준만 제시할 뿐 장비의 기능발휘( 고도인상, 스피드)를 하기 위한 기준으로는 부족한 게 사실입니다. 장비의 기능발휘를 위해서는 VNA의 짧은 구간 평탄도가 핵심이며 기존의 기준들이 제시하지 못했기 때문에 VDMA기준이 새로 만들어지게 된 겁니다.

VDMA (Verband Deutscher Maschinen- und Anlagenbau, Germany 2010)
모든 VNA Forklift Truck 제작사들의 요구로 검증을 통해 새로 제정된 기준입니다. 기존의 DIN15185 기준 내용에 추가 보완한 기준으로, 짧은 구간 및 긴 구간 평탄도를 완벽하게 컨트롤하는 새로운 기준입니다. 짧은 구간 평탄도는 Forklift Truck의 원활한 운전을 위해서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평탄도 측정 결과는 Fx 값으로 조합되는데 최소값을 만족시켜야 합니다.
다운로드EN 15620 (European Norme September 2021)
The VDMA flatness requirement was included in the FEM 10.2.14 / 4.103 - 1 and from September 2021 in the European standard EN 15 620. It is therefore an official European flatness standard which must be met. This standard was developed at the request and with the approval of VNA forklift truck manufacturers, flooring contractors, engineering firms and universities, and is based on years of scientific research. VDMA is the only standard worldwide that controls all undulations that influence the driving behaviour of the forklift truck. The undulation of a floor is a combination of both (medium) long and short waiviness.
다운로드
DIN 15185 (standard)
DIN은 독일국가규격이라는 뜻입니다. 1991년 8월 제정되었으며, 하이랙창고의 바닥 분석을 통해 전문적으로 개발되었습니다. 랙구간의 다양한 평탄도 요구사항과 지게차사용 구간(통로, 오픈구간)의 평탄도 허용수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DIN15185는 DIN18202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지게차 통로 길이방향의 평탄도를 규정합니다. 가로방향 평탄도는 지게차 좌우바퀴 레벨 편차를 근거로 결정됩니다. 이 기준은 한 지점의 분석이 아니고, 결과값은 가상의 라인으로부터의 편차로 표현되며, 1M, 2M, 4M 그래프로 보여줍니다.
다운로드
DIN 18202 (standard)
DIN18202 기준은 1997년 4월에 마지막으로 개정되었습니다. 다양한 용도의 바닥 평탄도를 다루고 있으며 특히 창고의 지게차 자유운행구간(넓은 통로, 평치구간)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1M, 4M 직선자로 바닥과 자와의 거리를 측정합니다. 직선 구간만 측정하며 가로 구간은 측정하지 않습니다. Table 3을 보시면 허용오차 기준이 나와 있습니다. DIN18202 column3/column 4에 따라 측정 장비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TR34 (commercial recommendation)
2003년 2월 ACIFC의 도움을 받아 영국 콘크리트협회가 미국의 F-number 시스템과 비슷하게 만든 바닥평활도 측정 시스템을 산업용바닥 시공 및 설계 지침서 “Technical Report 34, Appendix C“에 수록하였습니다. 그후 2013년에 TR34, 4th edition에 정식으로 바닥측정방법을 명시하였습니다. 이것은 EN15620의 카피본으로, 주로 운행제한구역(Defined Movement Area)과 자유운행구간(.Free Movement Area)의 측정방법으로 구성되어졌습니다.